바꾸고 싶은 건축문화_3

변호사가 재판장에서 변론할 때마다,
구청에 가서 먼저 다른 변호사한테 검사받나요?
의사가 수술할 때마다,
보건소에 가서 먼저 다른 의사에게 검사받나요?
약사가 처방할때마다,
옆 약국에 가서 먼저 다른 약사에게 검사받나요?
회계사가 회계장부 쓸 때마다,
세무서에 가서 먼저 다른 회계사에게 검사받나요?
공인중개사가 계약할 때마다,
등기소에 가서 먼저 다른 공인중개사에게 검사받나요?

5년동안 배우고, (최소)3년동안 수련하고,
10% 합격률을 뚫고, 건축사라는 자격을 받았으면,
법 테두리 안에서, 자신의 전문 지식으로 하는
설계 행위 자체를 인정받고, 그 책임을 지면 안되는 건지요.
허울뿐인 5년제와 자격시험의 한계를 인정하는 것인지요.
왜 건축사는 같은 건축사에게 끊임없이 검사를 받아야 하는건지요.
한 프로젝트에 설계자, 감리자, 지역센터허가자, 특검,
왜 4명의 건축사까지 붙어야 하는건지요. (거기에 심의위원까지)

허가권자가 공무원에서 건축사로 바뀌면, 뭐가 달라지는건지요.
또 다른 ‘갑’의 탄생이 아닌건지요
이게 인허가간소화가 맞는건지요.
근데 왜 자꾸 설계자들만 힘들어지는 건지요.
(아니라고, 내가 생각이 짧고, 잘못 생각하고 있다고 누가 말해줬으면)
한다리만 건너면 다 아는, 안그래도 좁은 이 분야에서
서로를 프로페셔널로 인정하면 안되는건가요?

이렇게 신뢰가 없고,
실력이 없고,
존경도 없고,
끌어줄 선배도 없이,
맨날 행정처리만 하고 있는데,
무슨 얼어죽을 프리츠커.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id=95083650&fbclid=IwAR10PhzsJWuDONPuvmYh-IjspK-u4hrz_RVb4xg4yfqtiZLOVQAthJW09VM

 

아…우리동네 돌아가는 꼴을 보아하니,

지난 3년간 예산이 없어서 못만들었다는 지역건축안전센터는
이번 법률 통과로, 예산확보 근거를 마련했으니,
각 지자체별로 슬슬 만들어지기 시작할 것 “같다.”
(알고보니, 다른형태로 이미 존재한다는…)

그동안 (갑을병)‘정’으로만 살아오던 건축사들은
그 지역 ‘허가권’이라는 절대반지를 쥔 자리를 놓고,
피터지는 대결이 벌어질….듯하였으나,

이미 짬짜미 줄서기를 마친 그들만의 리그 속에서,
순서대로 1년간 평생 못누려본 권력욕구를 해소하듯,
구청 건축과 구석탱이에 놓인 ‘센터장’ 자리를 보며 흐믓해 할 것 “같다.”

동네 아는 형님동생이 허가를 넣으면, 일주일만에 허가가 나고,
서울에서 머리에 피도 안마른 어린놈이 허가를 넣으면,
한달이 지나도 아무 소식이 없는,
상대성이론이 적용된 오래된 선진시스템으로
지역사회의 인기를 얻으며,
연봉 6천에 주 35시간의 저녁이 있는 삶을 처음으로 누리며,
지역 현금흐름과 지역 맛집 발굴의 선봉장이되어,

1년후, 다행히 아무 사고 없었던 임기를 뒤로하고,
새로운 명함에 (전)안전센터장을 박는 업무를 끝으로,
꿀맛같던 인생의 최정점에서,
다시 ‘정’의 자리로 돌아가는 쓸쓸한 뒷모습이 ”그려지는” 건
나뿐인가.

 

소규모 설계사무소를 운영하며,
모든 프로그램을 정품으로 사용하는 곳이
얼마나될지 모르겠지만,
코로나 사태는 어쩌면,
불법다운로드의 숙주인 설계사무소에
매우 큰 타격을 줄지도 모르겠다.
대면 영업이 매우 힘들어진 상황에서,
A사를 필두로, 그들도 살아남기 위한 매서운 칼을
꺼내들 분위기가 곳곳에서 심상치 않게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체험판만 깔았어도 당신은 A사의 관리대상입니다.)

부자가 되려면, 소비를 통제하라 했던가.
사실, 협동조합을 만든 가장 큰 이유는
5팀이 함께 임대료와 각종 비용을 엔빵하기 위해서고,
그로인해, 이 생태계에서 어떻게해서든 끈질기게 생존하기 위해서다.
이렇게 아끼고 아껴서, 부자는 아니어도,
최소한 다같이 먹고사는데는 문제가 없길 바랄뿐이다.

헌데, 이런 상황에서 어느날 갑자기 프로그램 불법사용으로,
소문으로 듣던대로, 생돈 천만원돈이 나갈 상황에 닥친다면,
나는 진심으로 온 힘을 다해,
노트북을 창문밖으로 내던지고, 미친놈 연기를 할지도 모르겠다.

그간 나름의 경험을 통해, 제값을 주고 쓰는 프로그램은
1. 구글드라이브 100GB : 0.24만원 / 월
2. MS OFFICE 365 : 0.89만원 / 월
3. 아키디자인 : 50만원 / 18개월 > 2.7만원 / 월
4. 아키엠 : 70만원 / 28개월 > 2.5만원 / 월
5. 노션 : 3.3만원 / 12개월 > 0.28만원 / 월
한달에 6.7만원선이다.
에버노트, 드롭박스, 한글은 최근에 정리하였다.

그리고 오늘, 몇년간 다짐만 해오던,
아키캐드의 견적을 받았다.
그간 내가 살면서 한방에 결재한 것 중에서
베스트 3 안에 들어올 정도로 매우 큰 금액이고
4년을 쓴다고 계산하면, 한달에 13만원정도이다.

그렇게되면, 한달에 쓰는 프로그램비는 총 20만원이 된다.

이게 참 신기하게도,
건축사 도장값과 같아졌다…..
(이해가 안되시는 분은 지난 글의 댓글을 참조하시길)

아…고작 건축사도장값에 따위에 그간 벌벌 떨고 있었다니…
이번 플젝 계약되면, 아키캐드
제일 비싼 버전으로다가 현금으로 결재하리라.
이제 프로그램 걱정에서 평생 해방하게 해주신
(일부)선배건축사님들께 땡큐베리감사.

헌데, 선배님들 사무실은 무사하신지….

 

건축법규 링크정리

건축법규링크

 

이번 코로나사태에서
우리 정부가 보여준 놀라운 대응은
압도적인 양의 데이터를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고 판단해서,
명확하고 투명하게 국민에게 공유한 것이다.

건축설계도 그렇다.
압도적인 양의 건축관련 법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고 판단해서,
오류없이 도면에 담아내야한다.

헌데 하면할수록, 그 양과 복잡함이 만만치 않다.
지자체 조례까지 일일이 검토하려면
하루에도 검색하느라 보내는 시간이 만만치 않다.
그 몇초, 그 몇분의 스트레스라도 줄일 수 있길 바라며,
그간 정리한 건축법규관련 링크를 공유한다.
링크오류가 좀 있지만,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코로나 사태로 폐북이 전보다 활성화 되어서인지,
총선으로 나라가 변화함을 느끼고 있어서 인지,
건축계에도 변화의 목소리들이 많이 나오는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에 입학하는 순간부터,
18년간 쭉 죽어가는 이 생태계는 내부로부터 변화보다,
외부에서 전해지는 충격에 의해서 변화할 가능성이 훨씬 커보인다.

압도적으로 빠르게, 투명하게.

코로나사태의 우리나라 정부와 국민의 대응에 경의를 표하며,
github에는 전세계 개발자들이 코드를 서로 오픈하고 공유하며,
탄탄한 생태계를 만들어가는데,
우리동네는 얼마나 느린지, 얼마나 탁한지.
한번 생각해본다.

https://url.kr/tsbBzr

바꾸고 싶은 건축문화_2

작년 한해 나에게 가장 특별했던 한 교육에서
’50대 이후에는 후배들을 위해 사는 것’이라며,
건축문화의 근본적인 변화를 외치고,
누구보다 열심히 활동하고 계시는 최모소장님.

항상 이동네 핫이슈 최전선에서
장렬히 변화를 외치며,
몸빵하고 계시는 세종시의 이모소장님.

15년전, 3학년 설계수업은 반드시
이분께 들으리라 다짐했었지만,
다른 학교로 가셔서 아쉽게도 인연이 되지 못한 박모교수님.

모두 같은 것을 말한다. “변화”
누군가 의지를 가지고 움직이면,
동조해 주는게 이동네 변화의 시작이라고 본다.

박교수님의 페북글에 쓸말은 너무 많다만…
시간이 부족해 각 항목별로 세세하게 못 적고,
머릿속에 떠오르는 생각들만 남겨본다.
적고나니, 여지없이, 불만쟁이가 되었네.

1. ‘건축주’라는 표현은 맞는가? 태생적 굽시니스트?
2. ‘건축법시행령_별표1. 건축물의 용도’는 시대를 반영하는가?
– 다른 법들, 심지어 건축관련 법규들과도 충돌함.
– 시대의 요구를 담을 수 있는가?
3. 설계와 감리는 반드시 분리되어야 하는가?
4. 설계와 시공은 반드시 분리되어야 하는가?
5. 행정업무가 과다하지 않은가? 인허가, 심의, 인증
6. 설계 및 감리 대가는 합당한가?
8. 한국감정원 건축공사비는 시대를 반영하는가?
9. 지역건축안전센터는 꼭 필요한가?
8. 가설계, 가견적을 없앨 수 없는가?
10. “설계로 부자될 수 없다?”는 속설
11. 건축학과 ‘5년제’ 는 꼭 필요한가?
12. 건축사협회는 가입을 해야하나? 가입비는 적당한가?
13. 사용승인업무대행을 지역건축사협회에 위임하는 것은 맞는가?
14. 정당한 대가를 치루고 있는가? 협력설계, 프로그램 등
15. 정당한 대가를 받고 있는가? 설계비 및 감리비
16. 건축기술은 발전되고 있는가? 20년전 도면과 무엇이 다른가?
17. 현상설계 결과물은 왜 ‘스케치업’ 이어야 하는가?
18. 현상설계는 투명한가?

바꾸고 싶은 건축문화_1

허가권자 지정감리 설계감리비의 함정

평당 공사비의 한계를 알면서도,
의뢰인(혹은 예비의뢰인)과의 대화에서
총 예산을 가늠하는 잣대로
‘평당’ 공사비를 언급하지 않은 적은 한번도 없었고,
설계비나 감리비를 산출할때도
마찬가지로 ‘평당’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그만큼 개념이 매우 단순해서
누구나 빠르고 쉽게 이해하기 때문일 것이다.

경험이 더 쌓이면, 나름의 공사비 기준이 생기겠지만,
일년에 기껏 몇건뿐인 혼자만의 경험을
객관적인 데이터로 쓰기엔 한계가 있다.
그래서, 그나마 믿고 의지할 수 있는 데이터는
‘공공발주’사업의 공사비 통계자료자료일 것이다.
조달청에서 한해동안 진행된
공공발주사업의 신축공사비를 공개하는 자료(F)는
경험이 부족한 나에겐 매우 큰 도움이된다.
http://pcae.g2b.go.kr/

하지만, 아직도 개념이 안잡힌 것들 중에 하나는
‘공공발주’와 ‘민간발주’의 상관관계이다.

흔히, 공공발주 공사비는 민간발주에 비해,
일위대가, 표준품셈 등등 모든 내역이 정식(?)으로
들어가야하기 때문에, 더 크다. 라고 여겨지고,
그에 따라서 요율(%)로 산출되는 설계감리비도
공공발주가 민간발주보다 더 커야한다는 논리이다.

그래서, 나의 경우에는
연면적(A) X
매년 국토교통부와 건축사협회에서 공지하는
[한국감정원 신축단가 용도별 평균값](B) 을 통해
예상 공사비(C) 산출하고,
[공공발주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범위와 대가기준](D)
을 적용해 설계감리비(E)를 산출하여,
그에 준하는 (물론 할인하여) 견적서를 제출하곤 했다.
그래야 뭔가 근거가 있어 보였고,
공공기관과 수의계약시에도 이런식의 견적을 활용했다.

또한, 아직 경험은 없지만,
(허가권자가 결혼정보회사 마냥 짝지어주는)
지정감리자가 받는 감리비(F)도
(B)를 참고하도록 건축사협회에서 안내하고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문제는 (B)에서 발생한다.
‘한국감정원’에서 매년 발행하는 ‘건물신축단가표’라는
어마어마한 두께와 가격으로 지갑을 닫게하는,
이 자료(2018년)을 세세하게 들여다 보면,
나로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없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여기서 제시하는 제곱미터당 단가는 무척 세분화된
공종별 금액들과 각종 수치들로 무척 객관적인듯 보였으나,
뒤에 첨부된 건물들의 사진을 보니…
온통 쌍팔년도,
혹은 그 이전에 지어졌을만한 건물들로 이루어진 자료였다.
한장한장 넘길때마다, 어릴때 조차 보지 못한 건축스타일들이 등장한다.
또한, 용도별로 데이터 갯수는 5개 내외이여서,
과연 객관적인 근거로 쓸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혹시 물가상승은 고려됐을지 2019 자료도 확인해 보니,
매년 새로운 사례 한두개 추가와 약간의 상승은 있었다.
듣도보지도 못한 딱 3개의 사례를 근거로
다가구주택의 평당 공사비는 약485만원이다.

현실에서는 지어지지도 않는
낡은 방식의 공사비 데이터(B)를
공공기관(국토교통부)와 건축사협회에서는
건축사들의 밥줄인 설계비와 감리비 산정에
공식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단지 ‘한국감정원’에서 발행됐다는 이유로…

건축사의 입장을 대변할 의무가 있는
건축사협회에는
저 공문을 보내면서,
이 자료을 한번이라도 펴 봤을까…
아니면, 보고도 스스로
우리가 이정도 수준밖에 안되는 것을 인정하는 것인가.

시공사 대표님들은
현장에 인건비는 하루가 다르게 올라,
이제 평당 600으로도 제대로 집짓기 힘들다던데,
건축사들이 이렇게 감 떨어지는건
누구의 탓인가

길에는 테슬라 전기차가 점점 많이 보이는데,
티코 만들 금액으로
소나타가 만들어지길 기대하지 말고,
공적으로 공표하는
공사비와 설계감리비의 현실화가 필요하지 않을까.
공공발주의 데이터를 활용하려면
(B)가 아니라, (F)를 기준으로 산정해야 하는게 아닌가?

 

87453329_10207319282417035_5776414766088060928_o90056079_10207319230855746_7500471379515408384_o90106394_10207319231895772_898975009110753280_o90149535_10207319229935723_2384230856764948480_o90168083_10207319230975749_1778743255186276352_o90175913_10207319282057026_4299480061087580160_o90228536_10207319230695742_2351689504470859776_o90251194_10207319231535763_56813951945539584_o90299878_10207319226975649_7534298503283998720_o

 

190901_생산성

국내건축설계사무소의 생산성분석_kicemc_201211_088

– 생산성을 높이는 네가지 방법

1. 개선을 통해 투입 자원을 줄인다.

2. 혁신을 통해 투입 자원을 줄인다.

3. 개선을 통해 성과를 높인다.

4. 혁신을 통해 성과를 높인다.

– 혁신을 위한 ‘시간적인 여유’

전형적인 정규업무의 생산성 향상

여유시간이 생긴다

여유시간을 혁신을 위해 투자

혁신으로 대폭적인 생산성 향상을 실현

 

건축설계 생산성향상 프로젝트를 진행해야겠다.

190627_2019 설계시공 BIM 세미나

KakaoTalk_20190627_203553234

KakaoTalk_20190627_161429060

숙련된 손 스케치를 할 수 있는 작업자들이 없음. > 스마트 콘플래너의 필요성

KakaoTalk_20190627_161324064

KakaoTalk_20190627_161353459

6만배 빠른 시각화

KakaoTalk_20190627_162953541

수치데이터기반 활용

KakaoTalk_20190627_163304599

포인트 클라우드 활용한 시공계획

KakaoTalk_20190627_163318606

토공계획 + 포인트클라우드

 

 

BIM 설계프로세스

공동주택 데이터 구조상 데이터가 작지 않음.

BIM DB (라이블러리, 템플릿)

레이어 구성 > 레이어 조합 > 선색 > 컴포넌트

부위별 스탠다드 > 객체화, 즐겨찾기, 네이밍 셋팅

KakaoTalk_20190627_203559492

KakaoTalk_20190627_163336966

KakaoTalk_20190627_203557824

KakaoTalk_20190627_203555117KakaoTalk_20190627_203554527KakaoTalk_20190627_203555629KakaoTalk_20190627_203556311KakaoTalk_20190627_203556937KakaoTalk_20190627_203557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