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uroarchitecture

neuroarchitecture (uncountable)

  1. (anatomy) The structure of systems of neurons and their interconnection
  2. The supposed influence of the design of buildings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neuroarchitecture’ not exsist @Wikipidia & AURIC

To do.

1. Find thesis about Neuroarchitecture or Cognitive neuroscience @auric

2. Study

@Geek

Neuroarchitecture is a discipline that seek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science and the design of buildings and other man made structures that make up the artificially created environment that most human beings live within. More specifically, neuroarchitecture addresses the level of human response to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his sort of built environment. The underlying purpose is to assess the impact that various structures have on the human nervous system and brain.

At the core of the study of neuroarchitecture is the utilization of neuroscience. Basically, neuroscience has to do with understanding how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teract with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the body. Within the study of this science, researchers will consider a number of different elements, such as genetics,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pharmacology, evolution, and the pathologyof the nervous system.

Neuroarchitecture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artificial elements added by human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unction of the brain and nervous system. In some cases, the impact may be beneficial, while in other situations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building may create a negative reaction on some level. It is understood that the impact may not be overt at first, and could in fact effect changes to the way the nervous system functions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One of the leading organizations involved in the study of neuroarchitecture is the Academy of Neuroscience for Architecture. As part of their stated purpose, the ANFA seeks to promote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uildings and the human body. In operation since the 1980’s, the Academy actively encourages research that seeks to employ the tools of neuroscience study to the impact that humanly constructed elements have on the function of the nervous system and what type of brain activity occurs as a result of the stimulation to the senses. The Academy has sponsored and been actively involved with studies that included investigating the neuroarchitectural impact of homes, office spaces, manufacturing spaces, houses of worship, and sports arenas.

reference site

http://www.anfarch.org/ Academy of Neuroscience of Architecture

http://ecosalon.com/neuroarchitecture/

http://www.healthytheory.com/neuroarchitecture-creating-an-environment-for-better-health

 

재료의 중요성 / Andrea Deplazes

재료의 중요성 / Andrea Deplazes

나에게 있어, 설계와 시공은 같은 개념이다. 나는 형태가 시공의 결과물이라는 말은 좋아한다. 물론, 재료는 유한하지만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물의 형태는 재료나 시공요소를 넘어 건축가의 의도라는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나는 이말에 전적으로 동의하지는 않는다. 심지어는 특별한 의도가 없다는 것 조차 하나의 정보가 될 수 있다. (기능주의가 이를 잘보여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설계와 시공의 구분이란 교수들이 강의 주제를 위해 도공과 물레를 비유로 제시하며 만든 교수법에 불과하다. 도공은 진흙덩어리를 속이 비어 있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한 손으로는 도자기의 밖에서 힘을 가하고 한 손으로는 도자기의 안에서 힘을(반대방향으로) 가하면서 도자기를 만든다. 이렇게 하여 “공간을 담고 있는 도자기”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힘은 서로 상호보완적이거나, 적어도 서로 영향을 미쳐야 하며, 이 결과 건축의 방법과 디자인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교훈이 된다. 이러한 과정은 양방향에서 이루어진다. 외부적으로는 도시에서 건축물로 향하는 고전적인 방법이며, 내부적으로는 공간적이고 건축적인 직물인 구축술의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두가지 경우 모두 추상성에서 콘크리트를 이끌어낸다.

두 힘의 가운데에 건축적 형태가 놓여있다. 이는 내부와 외부의 사이에서 경계와 전이의 공간이 되며, 그 자체로 모든 건축적, 문화적, 감각적인 요소들을 통합하여 공간에 퍼뜨린다. 이러한 점이 건축의 역설이다. “공간”을 이루는 것이 건축의 첫번째이자 최고의 목표임에 분명하지만 건축물자체는 재료가 공간을 경계지음으로써 공간의 내,외부에 영향을 미치는 “비공간”이기 때문이다. 건축무은 재료를 통해 기억과 공간적인 힘과 특징을 얻는다. 마틴 하이데거는 “경계란 무언가가 끝나는 지점이 아니라, 과거 그리스인들이 믿었던 것처럼 무언가 그존재가 시작되는 지점이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건축가란 유물론자들(기술자, 공학자, 디자이너)엇이는 존재할수 없는 형이상학자(metaphysicist)이며, 공간(반물질)과 형태(물질)이라는 상반된 요소를 연결시키고 끊임없이 서로 영향을 끼치도록 만드는 두 얼굴의 야누스 같은 존재라 할 수 있다.

단일 공간이나 공간의 집합체를 사전에 고안하고 설계하거나 이 후에 재건축하는 일은 현재의 조건을 잘 알고 이들을 잘 조절할 수 있을때만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건축가는 “전문적인 아마추어(Professional dilettante)”이자 지극히 다양한 조건과 매순간 우선순위가 달라지는 요구사항들로부터 완전하고 복잡한 통합체를 만들어 내는 연금술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건축공간의 특징은 “어떻게”공간이 형성되는 가에 달려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건축물을 실현하는 기술과 건물에 사용된 자재와 재료드의 구조적 구성 방식에 의해 그 특징이 정의된다. “재료가 어떤 느낌인지, 어떻게 생겼는지, 둔탁하게 보이는지 또는 반짝이게 보이는지, 냄새는 어떤지, 단단한지 또는 부드러운지, 유연한지, 차가운지 또는 따뜻한지, 매끄러운지 또는 거친지 같은 재료의 감각은 공간에 항상 존재한다.”는 Manfred Sack의 말은 이러한 점에서 주목할만하다. Sack은 건축공간은 가장 먼저 물리적이자 감각적인 방법으로 인지된다고 생각했다. 공간 속을 걸어가면서, 자신의 발자국소리가 벽에 반사되어 메아리로 돌아오는 소리를 들으며 사람은 맨 먼저 공간의 크기를 추정하고 가늠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공간을 걸어가는데 걸린 시간과 메아리의 음색을 통해 그 크기를 확인하게 되고, 벽면을 만지고, 다양한 재료들로부터 나온 냄새를 맡으며 공간의 경계에 대한 촉각적인 수치를 얻게된다. 그래서 이러한 감각적인 경험을 통해서만이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시각은 물체 표면의 자극에 대한 물리적, 감각적인 상에 대한 기억이다. 나는 또한 “어떤한 구조가 외피에드러나는가?”라는 질문을 좋아한다. 외피의 아래에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구조체가 있으며, 외피가 형성되기 전에 형성된 구조체에 의해 영향을 받게되고, 어떠한 면에선 외피란 구조체를 투사하는 평면에 불과하다고도 할 수 있다. 건축에 있어서 수학적인 개념인 선이나 2차원적인 평면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건축은 항상 3차원적이며, 심지어 페인트나 플라스틱, 재료의 얇은 층까지도 그러하다. 일례로 색이라는 관점에 대해, 안료로써의 물리적인 접근과 색조로써의 감각적인 접근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데, 2차원 평면의 느낌을 만들어내는 것은 후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건축은 기교나 기술만의 문제만이 아닌 tekhne(그리서어로 예술,장인적 기술을 의미한다)이자 인간 본연의 의지와 욕구를 표현하고, 새로운 무언가를 창조하고자 하는 예술적, 창의적인 욕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렇듯 건축을 “이해한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건축을 이해함과 더불어 인간의 모든 감각을 이용하여 지적으로 이해함을 말한다.

1999년 1월 15일 스위스연방공과대학에서의 강의 내용에서 발췌.
@설계자 및 시공자를 위한 건축설계,시공핸드북 재료별,프로세스별,구조별

BIG

BIG film at the venice architecture biennale 2010
[youtube=http://www.youtube.com/watch?v=EWxo9qI-STo&fs=1&hl=ko_KR&rel=0&hd=1]

몇년전에 8자모양 집합주거 프리젠테이션도 작살나더니,

이번 비엔날레에도 실망시키지 않는 BIG 센스.

이런 센스! 이런 시도! 이런 노력! 우리도 필요해요!

[youtube=http://www.youtube.com/watch?v=4AYE3w5TWHs&fs=1&hl=ko_KR&rel=0&hd=1]
사실 작년에 TED를 통해서 처음 알게됐지만, 보자마자 반해버린 bjarke ingels.

[youtube=http://www.youtube.com/watch?v=eBpdEoGfMzg&fs=1&hl=ko_KR&rel=0&hd=1]
이건 또 최신작이로구나~!

공무원, 정치인, 시장, 국회의원 눈에 맞는 동영상 만들지말고~ 이런 센스있는 동영상 만들자구요!!!!

우린 센스있으니깐!!!!!!!!!!

[youtube=http://www.youtube.com/watch?v=i99MzGa3Vec&fs=1&hl=ko_KR&rel=0&hd=1]

아. 그나저나

베니스 비엔날레 가고 싶당. 아 베니스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