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아 교수님
- 박태홍 교수님
- 전인호 교수님
- 이양재 소장님
건강한 건축을 설계합니다. | 김국환건축사사무소
통인시장의 순두부찌게 집.
수저통, 양념통, 휴지통이 항상 식탁위에 존재하는 관념을 깼다.
매우 인상적.
건축에서 관념을 깨는 디자인이란 어떤 것일까.
통인시장 정문 게이트. 황두진건축.
막상보니 한옥의 기둥부분의 변형으로 보이기도하지만
목조, 철골, 유리가 잘 조합되어 매우 세련되어보인다. 약간 렌조피아노 건물에서 느껴지던 느낌같은.
시장골목 위를 덮은 지붕구조물도 다른 시장과는 달리, 구조미가 느껴지며 채광이 잘되어 시장이 밝아 보였다.
dmp 입사전 3개월간 몸을 담은
아뜰리에 리옹 서울의 이소진 건축가의 작품.
아마도 정소영씨도 함께 했을것 같다.
짧았지만 인테리어 작업. 도시작업을 경험할 수 있었던 좋은 기억으로 남는다.
스토리야 이미 각종 신문과 잡지를 통해서 다 들은 상태.
봐야지봐야지 다짐하곤 이제야 찾아왔다.
서촌입구에서 버스르 타고.
무척 추운 평일 낮에
관람객이라곤 나뿐.
덕분에 윤동주시인이 마지막으로 머문 후쿠오카형무소를 모티브로 했다는 그 어두운 제 3전시관
물탱크 안에서 15분동안 전시 영상을 혼자 벌벌 떨며 보는 영광을.
추워서 떨었는지. 무서워서 떨었는지는 모를일.
외관에서 풍기는 담담함.
눈높이 아래로 코너를 살짝 찟어 드너낸 창문.
입구의 접근 방식과 계단 디테일.
깨끗한 실내색.
딱 프랑스 느낌?
꼬르뷔제나 미스 주택에서의 느낌?
제2전시관과 제3전시관이 우연히 발견되었다던데.
이 두 전시관이 없었다면…
제1전시관만이었다면…
윤동주 문학관이 이렇게 이슈가 될수 있었을까?
두 물탱크의 최소한의 변형으로 준 극명한 대비가 매우 인상깊다.
제2전시관에 가득찬 하늘과
제3전시관의 한줄기 빛.
수능을 보고나서, 윤동주의 시를 본적이나 있었을까.
몇몇 눈에 익은 시들에서 느껴지는
감정은 분명 그시절 내가 느낀것과는 달랐다.
더 큰 심동을 느낀건
윤동주의 시를 품는
이소진 건축가의 시때문은 아닐까.
건축은 빛과 공간으로 쓰는 시 일지도…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ulqpUl4k0jw?rel=0&w=560&h=315]
: Steven Holl with Preston Scott Cohen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cbIjyVnD3Y8?rel=0&w=560&h=315]
: Herzog & de Meuron, Lecture by Jacques Herzog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dtTo9qNrQB8?rel=0&w=560&h=315]
: Kazuyo Sejima and Ryue Nishizawa, “Architecture is Environment”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MGLO-GPYfbg?rel=0&w=560&h=315]
: Sou Fujimoto, “Primitive Future”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E7SqyuURn_o?rel=0&w=560&h=315]
: Recent Work – David Chipperfield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zG2WMVkD5dw?rel=0&w=560&h=315]
: Patrik Schumacher, “Parametric Order—21st Century Architectural Order”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_lc0-SAITq0?rel=0&w=480&h=360]
: Discussions in Architecture: Bjarke Ingels with Preston Scott Coh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