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꾸고 싶은 건축문화_7

IMG_5918

 

[“왜저런건물을…” 노들섬 시민들은 그저 가우뚱]

이 기사를 보고, 노들섬에 대해서 내가 경험했던 것들과 생각나는 것들을 적는다.

 

 

 

이미 많은 시간과 가능성이 지나갔다.

벌써 9년 전인, 2010년.

꿈많고 의욕넘치던 설계사무소 신입사원인 나는

(운좋게도?) 당시 회사의 주력 프로젝트였던,

‘한강예술섬 조성공사’의 실시설계에 투입되었고,

최종납품까지 1년을 이 프로젝트와 함께 보냈다.

1년차 사원이 뭔 역할을 했겠냐만,

기억으로 40여명의 실시팀과 외주팀이

많은 시간을 지지고 볶아 (왜인지 아직도 모르겠지만 가끔 큰 소리로 싸우고),

트럭 1대분량의 도면을 서울시청 별관 어느 창고로 납품한 기억이 선명하다.

알만한 사람은 알겠지만,

춤추는 듯한, 바람에 날리는 듯한 지붕 디자인이 이 설계안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었고,

이 지붕을 현실에서 지을 수 있도록 도면화 하는것이 내가 속한 팀의 역할이었다.

[한강예술섬 공사 본격화…2014 완공]

 

‘라이노’와 ‘그래스호퍼’로 비정형 건축물을 현실화하기 위한 로직이 짜지고,

말로만 듣던, 프랑크게리가 쓴다는 ‘디지털프로젝트’라는 프로그램으로 도면을 추출해나아갔다.

캐드와 맥스밖에 몰랐던 나는 “역시 프로의 세계는 다르구나”를 느끼면서,

나름 자부심을 가지고, 시키는 일에 몰두했다. (난 시키면 참 잘하니깐)

큰 그림을 어찌 돌아가는지 볼 수  없던 나는 납품후에도,

반년가량을 구조사무소에서 정리못한 구조도면을 그리며 많은 시간을 보냈다.

 

(2012년 운좋게도,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다룰 수 있다는 잔재주만으로,

건축가의 설계과정을 영상에 담을 수 있었다.)

 

 

 

예상은 됐지만, 6천억원이 넘는 공사비가 산출되었고,

서울시 의회에서는 예산낭비라며, 태클을 걸었고,

[한강예술섬 좌초위기] 2010. 9. 14

(위 뉴스에서 인터뷰한 서울시의원 민주당 박진형ㅅㄲ는 한달후 감방에 들어갔다.]

[박진형 서울시의원 체포] 2010. 11. 17

슬슬 망 기운이 돌기 시작하더니,

[한강예술섬 좌초위기] 2011.08.26

그리곤, 오세후니가 어느날 갑자기 무상급식 절대반대를 외치며 자빠졌다.

[오세훈 서울시장 사퇴] 2011. 8. 26

 

이 일때문이었을지,

‘나는 꼼수다’때문이었을지,

내 사주팔자 대운이 바뀌는 해여서였을지,

이때부터, ‘정치’가 내 삶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피부로 느끼며,

얌전했던 나의 분노게이지가 높아지기 시작한 것 같다.

그렇게 한동안 먹고사니즘의 사바세계를 헤메면서,

노들섬은 점점 잊혀져갔다. 가끔 여의도 쪽 지나갈때면,

‘아…..그런 플젝이 있었었었지…’하며.

 

그후로 나베를 꺽고 영웅처럼 등장한 박원순시장은 서울을 자신의 소신대로 바꿔나간다.

이미 설계도서는 납품되었지만, 소리소문없이 한강예술섬 프로젝트는 사라졌다.

 

[박원순의 노들섬] 2016.06.23 

박원순의 노들섬, 오세훈 ‘한강예술섬’과 다르다… 비용 92% 줄이고 변경 쉬운 ‘모듈형’

 

다시 노들섬에는 현상설계와 자문과 심의를 반복하며, 새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었다.

(얼마나 열심히 했는지, 여기에 잘 정리해놨다. http://nodeul.org/history)

뭔가 상당히 민주적인듯한 과정을 밟고 있다.

서울시 한복판 땅에 인생작이 될 만한 플젝에,

너도나도 자랑할만하다.

[조경설계 동심원] https://www.dongsimwon.com/blank-98

[건축설계 mmk+] http://mmkplus.com/news

이제 그 결과물이 슬슬 나오기 시작한다.

 


 

한강예술섬을 납품하고, 같이 일한 몇몇 사람들은 ‘안지어진게 다행이야’라고 말했다.

당시 누구도 울 나라에서 그 정도의 비정형 건축물을 설계해보지 못했고,

그 규모로 지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열심히 했지만, 어쩌면 자신없었을테고, 도면도 부족한 부분이 많았을 것이다.

헌데, 지금 생각해보면 두려웠던만큼 의미있는 도전이 아니었을까.

그 후로, 국내에서 DDP가 성공적으로 지어지면서,

비정형건축물에 대한 시공능력(설계능력말고..),

슈퍼메가시티에서 랜드마크 건축물의 존재성에 대한

논란은 많이 사그라든것 같다. (다른 논란은 아직도 많지만…)

 


이제는 초소규모(1인) 설계사무소를 운영하는 입장에서,

1년차 건축인으로 겪었던 한강예술섬처럼

크고, 화려하고, 이슈가 되고, 설계비가 큰 프로젝트를 앞으로는 못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더 아쉬운 것은,

내가 보고 겪었던 이 플젝의 수많았던 드로잉과 모형들과  BIM 프로세스가

한 정치인의 생각, 한 정당의 이권, 내가 뽑지도 않은 시의원들에 의해서,

한순간에 버려진다는 것이었다.

더 정확한 내막은 모르겠지만 (일개 시민이 어케 알겠노)

이렇게 너와 나의 500억이 쓰레기통에 처박힌건 누가 책임지고,

이미 지어져서, 수준급의 공연과 연주회를 향유할 기회를 빼앗긴건 누가 책임을 져야하나.

 


아직도 전세계 욕을 다 처먹어도 싼 독일이지만,

10년이 걸려도, 1조가 들어도, 하나를 해도 ‘제대로’하는게 넘 부럽다.

[함부르크 엘프필하모니일을 벌여도 제대로 벌였다]

우리도 이제 좀 할거면 ‘제대로’할 때가 되지 않았나.

우리도 한강에 좀 제대로 된 건물 하나 지어도 되지 않았나.

병풍같은 아파트 좀 집어치고…

한강다리에 조명쏘고 물 쏘고 하지 말고,

둥둥떠다니는 꽃같은 건물말고…

 


 

최근 패시브건축 교육을 들으며,

앞으로 내가 추구해야할 건축의 방향성이 더욱 선명해졌다.

우리나라 건축계가 나아갈 방향성도 다르지 않다고 본다.

그래서 더욱 공공건축이 이끌어 주어야 할 역할이 크다.

영주시의 방향성에 공감하고,

[영주시, 무량수전의 역사 이어고층목조건축 새시대연다]

아산시의 방향성에 동의한다.

[아산시, 패시브 건축물아산시육아종합지원센터신축공사 착공]

근데, 슈퍼울트라메가시티 서울은…..어디로 가는건가.

서울이 서울다울수는 없는건가…..(아이서울유….같은거 말고…)

 

아직 완공된 것도 아니고, 아직 운영이 시작된 것도 아닌데,

올라오는 욕을 참을 수 없는건.

또 몇년후, 이렇게 될 수 밖에 없었던….핑계와 한숨들이

건축판에선 돌고 돌것 같은 두려움 때문이다.

 

왜 우리가 당신들의 권력욕에 놀아나야 하는지.

왜 우리의 세금을 쓰레기통에 처넣는지.

왜 우리는 ‘제대로’된 공공건축과 문화생활을 경험할 수 없는지.

왜 우리는 변하지 않는지…

 

222.png

(출처:http://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5/03/2019050302553.html)

 

다 필요없고,

지금 짓는 저 건물에서…..

저 스뎅 선홈통이라도 제발 어떻게 좀 해주지 않을래?

제…제…제…발.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