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中

Paragraph from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고전으로 미래를 읽는다 007)] by F. W. 니체

그대들은 모두 견디기 힘든 노동을 즐기고, 신속한 것과 새로운 것과 이상한 것들을 좋아하지만, 그대들 스스로가 견디기 어려운 것이다. 그대들의 근면은 하나의 도피이며, 자신을 망각하려는 의지에 불과하다.
만일 그대들이 좀더 삶을 믿었다면, 그처럼 순간이 자신을 내맡기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대들이게는 기다릴만한 여유가없으며, 게으름뱅이가 될 만한 여유도 없는 것이다. (P.61)

재료의 중요성 / Andrea Deplazes

재료의 중요성 / Andrea Deplazes

나에게 있어, 설계와 시공은 같은 개념이다. 나는 형태가 시공의 결과물이라는 말은 좋아한다. 물론, 재료는 유한하지만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물의 형태는 재료나 시공요소를 넘어 건축가의 의도라는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나는 이말에 전적으로 동의하지는 않는다. 심지어는 특별한 의도가 없다는 것 조차 하나의 정보가 될 수 있다. (기능주의가 이를 잘보여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설계와 시공의 구분이란 교수들이 강의 주제를 위해 도공과 물레를 비유로 제시하며 만든 교수법에 불과하다. 도공은 진흙덩어리를 속이 비어 있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한 손으로는 도자기의 밖에서 힘을 가하고 한 손으로는 도자기의 안에서 힘을(반대방향으로) 가하면서 도자기를 만든다. 이렇게 하여 “공간을 담고 있는 도자기”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힘은 서로 상호보완적이거나, 적어도 서로 영향을 미쳐야 하며, 이 결과 건축의 방법과 디자인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교훈이 된다. 이러한 과정은 양방향에서 이루어진다. 외부적으로는 도시에서 건축물로 향하는 고전적인 방법이며, 내부적으로는 공간적이고 건축적인 직물인 구축술의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두가지 경우 모두 추상성에서 콘크리트를 이끌어낸다.

두 힘의 가운데에 건축적 형태가 놓여있다. 이는 내부와 외부의 사이에서 경계와 전이의 공간이 되며, 그 자체로 모든 건축적, 문화적, 감각적인 요소들을 통합하여 공간에 퍼뜨린다. 이러한 점이 건축의 역설이다. “공간”을 이루는 것이 건축의 첫번째이자 최고의 목표임에 분명하지만 건축물자체는 재료가 공간을 경계지음으로써 공간의 내,외부에 영향을 미치는 “비공간”이기 때문이다. 건축무은 재료를 통해 기억과 공간적인 힘과 특징을 얻는다. 마틴 하이데거는 “경계란 무언가가 끝나는 지점이 아니라, 과거 그리스인들이 믿었던 것처럼 무언가 그존재가 시작되는 지점이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건축가란 유물론자들(기술자, 공학자, 디자이너)엇이는 존재할수 없는 형이상학자(metaphysicist)이며, 공간(반물질)과 형태(물질)이라는 상반된 요소를 연결시키고 끊임없이 서로 영향을 끼치도록 만드는 두 얼굴의 야누스 같은 존재라 할 수 있다.

단일 공간이나 공간의 집합체를 사전에 고안하고 설계하거나 이 후에 재건축하는 일은 현재의 조건을 잘 알고 이들을 잘 조절할 수 있을때만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건축가는 “전문적인 아마추어(Professional dilettante)”이자 지극히 다양한 조건과 매순간 우선순위가 달라지는 요구사항들로부터 완전하고 복잡한 통합체를 만들어 내는 연금술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건축공간의 특징은 “어떻게”공간이 형성되는 가에 달려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건축물을 실현하는 기술과 건물에 사용된 자재와 재료드의 구조적 구성 방식에 의해 그 특징이 정의된다. “재료가 어떤 느낌인지, 어떻게 생겼는지, 둔탁하게 보이는지 또는 반짝이게 보이는지, 냄새는 어떤지, 단단한지 또는 부드러운지, 유연한지, 차가운지 또는 따뜻한지, 매끄러운지 또는 거친지 같은 재료의 감각은 공간에 항상 존재한다.”는 Manfred Sack의 말은 이러한 점에서 주목할만하다. Sack은 건축공간은 가장 먼저 물리적이자 감각적인 방법으로 인지된다고 생각했다. 공간 속을 걸어가면서, 자신의 발자국소리가 벽에 반사되어 메아리로 돌아오는 소리를 들으며 사람은 맨 먼저 공간의 크기를 추정하고 가늠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공간을 걸어가는데 걸린 시간과 메아리의 음색을 통해 그 크기를 확인하게 되고, 벽면을 만지고, 다양한 재료들로부터 나온 냄새를 맡으며 공간의 경계에 대한 촉각적인 수치를 얻게된다. 그래서 이러한 감각적인 경험을 통해서만이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시각은 물체 표면의 자극에 대한 물리적, 감각적인 상에 대한 기억이다. 나는 또한 “어떤한 구조가 외피에드러나는가?”라는 질문을 좋아한다. 외피의 아래에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구조체가 있으며, 외피가 형성되기 전에 형성된 구조체에 의해 영향을 받게되고, 어떠한 면에선 외피란 구조체를 투사하는 평면에 불과하다고도 할 수 있다. 건축에 있어서 수학적인 개념인 선이나 2차원적인 평면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건축은 항상 3차원적이며, 심지어 페인트나 플라스틱, 재료의 얇은 층까지도 그러하다. 일례로 색이라는 관점에 대해, 안료로써의 물리적인 접근과 색조로써의 감각적인 접근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데, 2차원 평면의 느낌을 만들어내는 것은 후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건축은 기교나 기술만의 문제만이 아닌 tekhne(그리서어로 예술,장인적 기술을 의미한다)이자 인간 본연의 의지와 욕구를 표현하고, 새로운 무언가를 창조하고자 하는 예술적, 창의적인 욕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렇듯 건축을 “이해한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건축을 이해함과 더불어 인간의 모든 감각을 이용하여 지적으로 이해함을 말한다.

1999년 1월 15일 스위스연방공과대학에서의 강의 내용에서 발췌.
@설계자 및 시공자를 위한 건축설계,시공핸드북 재료별,프로세스별,구조별

풍요롭게 사는 사람

풍요롭게 사는 사람

단순하게 사는 사람은
시대에 뒤떨어지거나 능력이 없는 사람이
아니라, 인생을 더 풍요롭게 사는 사람입니다.
살면서 하고는 싶은데 시간이 없어서 못하는 일들이
얼마나 많습니까? 바로 지금 이 자리에서 가장 소중히
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 봅니다. 그러기위해
무엇부터 해야 하는지, 무엇을 버려야
하는지를 생각합니다.

– 이우성의《정말 소중한 것은 한 뼘 곁에 있다》중에서 –

* ‘풍요’라 하면
물질의 풍요를 먼저 떠올립니다.
그러나 아무리 물질이 넘쳐도 마음이 넉넉하지 않으면
늘 쪼들리고 궁핍합니다. 무엇이 정말 소중한 것인지,
어디에 마음을 두고 어디에 시간을 내야 하는지.
그 우선순위가 무엇인지를 분별하고 살아야
진정 풍요로운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고도원의 아침편지

[BTTB2011] 스케치

Back to the Basic 2011.

기본으로 되돌아가기 2011.
올한해는 뭐든지 기본으로 돌아가보련다.

나에게 스케치란?

손으로 도면이나 투시도를 그리는 시대가 훨씬 지나고,
세련된 디지털 툴이 넘처나는 시대에 스케치는 무슨 의미인가?

(우선 머릿속에 떠오르는 생각들…)
스케치는 그림인가?
(루이스칸, 박승홍, 김성국, 양성구…)
선 하나에 의미는 있는 것인가?
뇌와 손은 어떤 관계인가?
손은 대체될 수 있는가?
어떤 건축을 할 것인가?
건축의 페러다임은 변하였는가?
스케치는 사라질 것인가?
디지털 스케치는 어떤가?
스케치는 건축가에게 필수적인가?
내가 하려고 하는건 스케치인가?
스케치를 많이하면, 잘하면, 좋은 건축을 할 수있는가?

인생을 낭비하고 싶지 않은 강박관념 때문에
모든 하는 일에 이유를 찾고, 중요도를 따지고, 이익을 계산하며 지낸거 같다.
사실, 그렇게 지냈기 때문에, 부끄럽지않게 올바른 길을 걸어온것 같다.

그러나 요즘들어, 그게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너무 많은 생각때문에, 행동할 타이밍을 놓쳐버리는게 습관됐다.

스케치도 마찬가지, 아직까지 위의 질문들에 얽매인것도 우습지만,
백만년만에 해보는 스케치의 힘없는 선들에 손발이 오그라들게 낯부끄럽지만,

올한해는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해보자.

순간,
답을 알고 보는 시험은 시간낭비였음을 깨닫는다.

20110123 wish lists.

goods
1. ipad
2. macbook
3. tablet

books
1. 사다리걷어차기.
2. 사회적원자.
3. 리딩으로 리드하라.
4. 백년동안의 고독.
5. 장자.
6. 진보집권플랜.
7. 호모루덴스.
8. 숨그네.
9. 나는 다르게 생각한다.
10. 다산 선생의 지식경영법.
11. 선택의 역설.
12. 철학, 삶을만나다.
13. 아스테리오스 폴립.
14. 서유기.
15. 공간열기.

albums
1. 국카스텐.
2. Oasis / Time file’s 1994~2009

’10분만 문밖에서 기다려라’

’10분만 문밖에서 기다려라’

마음이 초조하고
산만해지면 그냥 휴식하라.
저항에 저항으로 대응하려고 애쓰지 마라.
우리의 마음은 함부로 명령할 때보다는
편안하게 지시할 때 더욱 잘 반응한다.
그 다음엔 허벅지에 손을 가볍게 얹어놓고,
산만한 마음에게 단호하지만 고요하게
’10분만 문밖에서 기다려달라’고 타이른다.
매번 잡념이 거품처럼 끓어오르더라도
평정한 마음으로 이런 지시를 되풀이하다 보면
서서히 집중력이 되돌아오게 될 것이다.

– 셰퍼드 코미나스의《치유의 글쓰기》중에서 –

* 출렁이던 호수의 물도
10분만 고요하면 잠잠해집니다.
초조한 마음, 산만해진 마음도 마찬가지입니다.
10분만 문밖에서 기다리게 하면 얼씬도 못하게 됩니다.
바삐 걷던 길을 잠시 멈춰서서 마음에 일렁이는 사념을
가라앉히고, 새로운 기운으로 다시 걸어가는 것,
그것을 우리는 ‘명상’이라고도 부릅니다.
10분만으로도 족합니다.
(2009년 1월9일자 앙코르메일)

@고도원의 아침편지 중.